전체 글 (136)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정용 가스의 계절별 가스 안전관리 봄(해빙기 가스안전 점검) 가스 시설물 손상 위험이 높다 LPG 겨우 내 혹한으로 손상된 부분은 없는지, 비가 들이치지는 않았는지, 물이 괴거나 용기 받침대나 용기를 묶어 놓은 체인이 녹슬지 않았는지 살펴본다. 배관이나 호스 상태도 겨우내 헐거워지지 않았는지 점검하 고상태가 좋지 않으면 새것을 교체해준다. 배관은 호스로 되어있을 경우 3m 이내길이 로시 공하게 되어 있으며, 가급적이면 금속배관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가스 집안내 배관손상여부를 점검한다. 도시가스관리사무소에 의뢰해 배관과 호스, 호스와 연소기의 연결부위가 손상되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적절한 조치를 받을 것. 도시가스는 지하에 매몰된 배관이 땅이 녹으면서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이는 도시가스회사에서 전문장비를 이용해 관리하고 있으므로.. 가스 공급자의 의무사항 및 가스시설의 정기검사 가스는 석탄이나 석유와 달리 철저한 안전관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는 가스안전에 대한 기초적 지식이 없어서 완벽하고 효과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가 없는 것이 보통이다. 때문에 정부에서는 소비자들이 가스를 안전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직접 가스를 공급해 주는 가스 판매점이나 도시가스회사와 같은 공급자에게 안전관리에 관한 「공급자의 의 무사항」을 법으로 정해놓고 있다. 따라서 가스공급자는 이러한 의무규정을 성실하게 이행하여 자신들이 가스를 공급하는 사용처에서 가스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공급자의 의무사항은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과 소비자에 대한 계몽·홍보로 나눌 수 있다. 안전점검은 소비자의 사용시설이 규정에 맞게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누출 여부를 1년에 2회 이상 점검하는 것.. 학교 가사실습에서의 가스안전관리 학교 가사실습실에 설치된 가스사용시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 등의 시설이 기본적으로 다를 바 없기 때문에 가스를 안전 하게 사용하는 요령이나 방법에 틀리는 점이 있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가스를 사용하는 사람은 주로 주부나 특정한 종업원으로 제한되어 있어 조작에 익숙하고 책 임감 또한 남다른 바가 있으며, 시설의 사소한 결함도 잘 알고 사용할 수 있어 그 조심성을 믿을 수 있다. 그러나, 학교 가사실습실의 가스사용시설은 여러 사람이 한정된 시간에만 사용하는 공동의 시설이라 시설이 손에 익숙지 안 고 책임소재가 분명치 않아 시설에 대한 애착, 책임감, 안전관리가 자칫 소홀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단 한번의 실수나 순 간 적인 방심, 부주의가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할.. 이전 1 ··· 42 43 44 45 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