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1

분진, 용접 흄, 납 흄에 의한 유해위험 가. 정 의 분진(Dust)이란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에서 발생하거나 흩날리는 미세한 분말상의 물질이자 단일 물질 또는 혼합물 형태로써 공기 중에 분산된 고체 입자를 뜻하며, 금속·광물·나무· 섬유·안료·염료·곡물 분진 등 다양하게 발생된다. 2개의 금속을 열원으로 가열하여 용융, 가압하는 등의 조작을 통해 야금학적으로 접합하는 것을 용접이라 하는데, 용접할 때 열에 의해 증발된 물질이 냉각되어 생기는 미세한 중금속 소립자가 용접흄이다. 또한, 용접흄과 더불어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발생 가스의 종류로는 오존,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불화수소, 포스겐, 포스핀, 도료나 피막 성분의 열분해 생성물 등 다양하다. 납땜할 때의 땜납은 크게 무연과 유연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납은 유.. 2022. 11. 16.
유기용제 및 증기에 의한 유해위험 가. 개 요 이 장에서는 관리대상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기화합물 중에서 특히 유기용제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산안법상 관리대상 유기화합물은 총 117종이며 다른 물질을 녹이는 성질을 가진 유기용제가 다수 포함되어 있고 벤젠이나 포름알데히드와 같이 과거에 특정 화학물질로 분류된 물질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유기용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와 방향족 염화 탄산수소(클로로벤젠, o-디클로로벤젠)는 고농도에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고, 저농도에서 장기로 노출되면 조형 장해를 일으킬 수 있다. 알데히드류(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는 대체로 휘발성이 강하고 인화성도 강하며 점막 자극성이 있다. 나. 유기용제에 의해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작.. 2022. 11. 16.
LPG, LNG, 아세틸렌 가스에 의한 유해위험 가. 개 요 (1)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액화석유가스) • 생산 방법 : 석유에서 증류로 추출, 유전가스에서 추출한다.(단, 유전가스에서는 탄화수소 비율이 높음) • 주성분 : 프로판, 부탄 • 용도 : 가정용 연료(도시가스) 자동차 연료, 난방용 등 • 주요 특징 - LPG는 주성분이 프로판과 부탄인데 공기의 비중을 1로 볼 때 이 두 기체의 비중은 프로판이 1.5, 부탄이 2.0 정도이므로 공기보다 무겁다. 그러므로 누출 시 확산이 잘 안 되고 체류됨으로써 폭발 가능성이 높다. - 액화되기 쉽고, 가벼운 압력 용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2) LNG(Liquefied Natural Gas, 액화 천연가스) • 생산방법 : .. 2022. 11. 16.
가상현실·증강현실을 활용한 안전교육 동향 가상현실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 등을 활용해 특정 환경이나 상황을 구성하여 마치 실제처럼 느끼고 유사한 체험을 할 수 있게 만든 가상공간 구현 기술이며, 증강현실은 현실을 보여주는 영상 위에 가상으로 제작된 이미지 객체 등을 중첩하여 보여주는 기술 분야를 의미한다. 근래에는 현실 공간에 있는 실제 객체 요소와 가상 객체 요소가 서로 정밀한 상호작용을 하며 감각까지도 공유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확장현실(eXtended Reality)이라는 개념도 사용되고 있다. 이들 모두는 명확한 정의보다는 서비스 분야 혹은 응용기술 분야에 따라 통용되는 내용을 바탕으로 의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이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교육에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먼저 살펴본다. 최근에 건립되어 운영 중인 안전체험관 중에.. 2022. 11. 8.
가상현실·증강현실을 이용한안전교육 동향 대형재난으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고 있다. 재해와 재난으로 인해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해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 및 예방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적으로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추진 중이다. 특히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산출된 성과물을 실제 재난 안전관리정책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1]. 대형재난과 관련된 많은 연구개발과 함께, 최근에는 국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경험 가능한 생활안전과 관련된 연구개발이 추진 중이다. 낙상 사고, 낙하 사고, 승강기 사고, 완강기 사고와 같은 생활 속 사고 상황에 대한 체험 및 대응 교육을 위해 ‘생활안전 체험교육을 위한 실감형 콘텐츠 기술개발’ 연구과제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2][3]. 연구개발로 산출된 최종성과물인.. 2022. 11. 8.
공공안전통신망 기술발전 및 표준화 추세 공공안전 통신망 기술발전 및 표준화 추세 기존 기술들과 PS-LTE의 차이점은 개인 간 통신 외 다수의 안전 기관 사이에도 일원화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끊김 없이 안정적인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장 구조를 위해 소방, 경찰, 의료 등 사용기관 간 신속하고 안정된 소통이 중요해지는 재난 현장은 더욱 다양화되고 복잡해지므로 기존에 사용 중인 VHF 및 TETRA 무전기와 같은 단순 음성 기반의 통신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어 Public Safety LTE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통신방식으로의 전환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공공안전통신망을 위한 PS-LTE에 대한 구축이 한국과 미국은 주도적으로 완료되었으며, 영국, 핀란드, 싱가포르, UAE 등 글로벌 국가에서도 본격적으로 인프라 구축을 .. 2022. 11. 8.
반응형